코스닥 앤디포스 주가가 당일 25년 3월 21일 상한가에 도달하였습니다.
전일과 비교하여 30% 올라서 2,290원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상한가 이유는 미국시장 공략으로 인한 실적이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었습니다.
미국의 테슬라 등을 고객사로 확보하여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는데요.
테슬라, 볼보와 같은 글로벌 회사에 절연시트, 아크릴 폼 양면테이프 공급소식으로 현재 긍정적인 주가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앤디포스 주요 제품과 주가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기업개요
앤디포스는 2010년 6월 23일 설립된 중소기업이며 플라스틱 접착처리 제품 제조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한삼로 224-7에 위치하고 있는데요.
대표이사는 조서용입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기능성 양면 점착 테이프: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패널(TSP)과 본체 사이에 부착되어 방수성, 내충격성, 점착력, 재작업성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테이프는 스마트폰 외에도 카메라, 액션캠, OLED TV, 자동차, 태블릿 PC, E-Book, 스마트워치, 노트북, 무선이어폰, AI 스피커 등 다양한 기기에 적용 가능합니다.
- 윈도우 필름: 자동차 및 건물 유리에 적용되어 단열과 유해 자외선 차단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자동차 외형 보호를 위한 페인트 및 윈드실드 보호 필름도 제공합니다.
- 기타 기능성 제품: 방수 테이프, 차광 테이프, 열반응 테이프, 배터리 고정용 테이프, 박막 테이프, 융합형 기능성 테이프, 열방사 테이프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들을 제공합니다.
회사의 주요 제품은 모바일 기기용 양면테이프와 윈도우 필름입니다. 특히, TSP(Touch Screen Panel)용 양면테이프는 삼성전자와 애플 등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에 납품되고 있으며, 윈도우 필름은 전 세계 50여 개국에 수출되고 있습니다.
3. 연혁 및 성과
- 2010년: 앤디포스 설립
- 2011년: 음성공장 준공
- 2012년: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 2013년: 무역의 날 2,000만 불 수출의 탑 수상
- 2014년: 삼성전자에 모바일 기기용 양면 테이프 납품 시작
- 2015년: 애플에 모바일 기기용 양면 테이프 납품 시작
- 2016년: 코스닥시장 상장
- 2017년: 한국무역협회장 표창 수상
- 2021년: ISO 45001 인증 획득
- 2023년: 테슬라 사이버 트럭용 아크릴폼 테이프 공급
4. 인력 현황
2024년 9월 기준, 앤디포스의 총 직원 수는 122명으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104명과 기간제 근로자 18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 주요 주주 현황
2024년 9월 30일 기준, 최대주주는 (주)대유로, 보통주 4,230,849주를 보유하여 지분율 17.9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수관계인인 조광아이엘아이(주)는 보통주 1,059,854주를 보유하여 지분율 4.50%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6. 재무 현황
연간 실적 (K-IFRS 연결 기준)
매출액 (억원) | 633 | 893 | 489 |
영업이익 (억원) | 20 | 37 | -41 |
당기순이익 (억원) | 177 | -215 | -138 |
자산총계 (억원) | 2,319 | 1,730 | 1,411 |
부채총계 (억원) | 620 | 328 | 163 |
자본총계 (억원) | 1,699 | 1,402 | 1,248 |
분기별 실적 (K-IFRS 연결 기준)
매출액 (억원) | 118 | 138 | 119 |
영업이익 (억원) | -16 | -5 | -3 |
당기순이익 (억원) | -10 | -89 | -6 |
자산총계 (억원) | 1,385 | 1,283 | 1,278 |
부채총계 (억원) | 162 | 169 | 170 |
자본총계 (억원) | 1,224 | 1,114 | 1,108 |
재무 비율
부채비율 (%) | 36.46 | 23.41 | 13.07 |
유보율 (%) | 1,282.24 | 1,067.15 | 919.67 |
영업이익률 (%) | 3.13 | 4.16 | -8.43 |
순이익률 (%) | 27.90 | -24.10 | -28.24 |
ROA (%) | 8.69 | -10.63 | -8.78 |
ROE (%) | 11.45 | -13.88 | -10.41 |
재무 상태
2023년에는 매출액 감소와 영업손실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되었으며, 당기순손실도 발생하였습니다.
2024년 9월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하였으나, 영업손실은 157.5% 증가하였고, 당기순손실은 438.1%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매출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판관비가 28.7% 증가하여 영업손실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부채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재무 안정성은 약간 향상된 것으로 보입니다.



7. 주가 흐름
2020년 최고가 26,000원이 넘던 인디포스 주가는 25년 2월 최저가 1,671원을 기록하였으며 현재는 2,290원입니다.
8. 앤디포스 모멘텀
- 영업이익 흑자 전환: 2024년 연결기준으로 7억6,450만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경영 효율화와 비용 절감 노력이 주효했음을 나타냅니다.
- 윈도우 필름 사업 확장: '지벤트(Zivent)' 브랜드를 론칭하여 윈도우 필름 사업의 국내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제품 다각화와 시장 확대를 통한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테슬라 관련주 수혜 기대: 테슬라가 차세대 배터리인 건식 공정을 사이버트럭에 적용할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앤디포스의 관련 제품인 절연시트와 아크릴 양면테이프 공급이 예상되어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9. 앤디포스 리스크 요인
- 최대주주의 상장폐지 결정: 최대주주인 대유와 특수관계인 조광ILI가 상장폐지 결정을 받았습니다. 이는 앤디포스의 지배구조와 경영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 수익성 악화: 2024년 9월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으나, 영업손실은 157.5% 증가하였고, 당기순손실은 438.1%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판관비 증가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나타냅니다.
- 제품 포트폴리오 집중도: 주요 매출원이 모바일 기기용 양면 테이프와 윈도우 필름에 집중되어 있어, 특정 산업의 경기 변동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10. 앤디포스 주가 전망
모멘텀과 리스크 요인들을 고려해 보았을 때
앤디포스는 전방산업의 변화에 대한 민첩한 대응과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습니다.
*해당글은 개인적인 의견으로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씨엠생명과학 주가, 줄기세포 관련주 (2) | 2025.03.23 |
---|---|
네이처셀 주가, 조인트스템 (0) | 2025.03.23 |
태영건설, 태영건설 주가 (+상한가 종목) (0) | 2025.03.20 |
이노메트리, 이노메트리 주가 상승 이유(+유리기판 관련주) (0) | 2025.03.19 |
동양철관 주가, LNG관련주(+트럼프 LNG 관련주) (0) | 2025.03.18 |